30대, 퇴사하고 독일/국내파 문과생 독일 석사 유학

[국내파 직장인 독일 석사 유학] 2. 유종의 미, 논문 - 논문 연구 계획

홍니버스 2024. 1. 31. 21:02

[이전 발행 글]

2024.01.27 - [30대, 퇴사하고 독일/국내파 문과생 독일 석사 유학] - [국내파 직장인 독일 석사 유학] 0. 유종의 미, 논문 - 논문 작성 계획

2024.01.30 - [30대, 퇴사하고 독일/국내파 문과생 독일 석사 유학] - [국내파 직장인 독일 석사 유학] 1. 유종의 미, 논문 - 논문 주제 선정


논문 시리즈에서 다룰 내용들
A. 논문 작성 계획
B. 논문 주제 선정
C. 논문 연구 계획
D. 논문 지도 교수님 선정
E. 논문 작성
F. 논문 제출


C. 논문 연구 계획 

나의 경험과 주변에서 본 경우에 의하면, 논문 지도 교수님 선정 전에 한국에서는 논문 계획서를 작성해야 하지만 독일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었다. 그래도 논문 주제가 대략적으로라도 정해졌다면, 교수님 컨택 전후 시점에 논문 연구 계획을 짜보는 게 좋다. 연구 계획을 세우면, 그 과정을 통해서 어느 부분에 시간과 노력이 더 필요할지 미리 확인하고 교수님께 상담하기에도 편해진다.

논문 연구 계획은 그렇다면 어떤 부분들을 고려해야 할까?: 1. 구체적인 주제 2. 연구 질문 3. 연구 목적 4. 연구 조사방법 5. 연구 일정으로 나눠볼 수 있다. 1. 구체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이전 논문 주제 선정에 대한 글 B.2.1. 논문 주제 구체화를 참고하길 바란다. 본 글에서는 구체적인 논문 주제를 정했다고 가정하고, 연구 계획의 나머지 부분들 계획할 때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지 중점을 맞춰 작성하고자 한다. 

C.1. 논문 연구 계획: 연구 질문  

구체적인 연구 주제가 있다면 연구 질문은 자동으로 만들어지는것이나 다름없다. 이전 글에서 예시를 들었던, "한국 중소 의류제조업체 IT 시스템 담당자들과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전사관리시스템 ERP 활용도 조사"  주제라면 이 주제를 그대로 질문형으로 쓰면 연구 질문이 된다. 논문의 핵심은 아니지만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그 또한 연구 질문으로 쓸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 중소 의류제조업체들에 도입된 전사관리시스템 ERP 중 외산 소프트웨어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가? 하는 것이다. 어떤 이유로 내가 해당 마켓에 대해서 조사하고 싶다면, 이런 구체적인 부분이 궁금할 수 있다. 그리고 궁금증은 곧 논문 연구 질문이 될 수 있다. 

C.2. 논문 연구 계획: 연구 목적 

이 부분도 연구 주제의 구체화 과정에서 이미 함께 고려를 했을 것이다. 만약 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생각해봐야한다. 이 부분은 논문의 서론이자 함의 부분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내가 작성했던 논문 주제는 비슷한 연구는 이루어졌지만 1.해당 연구 분야는 실증 연구가 된 적이 없었고 2. 더군다나 다른 문화권 (독일과 한국) 비교 연구한 사례가 없었으나 3. 개인의 삶에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는 분야였다. 이 부분을 서론에 짚으며, 연구를 하게 된 계기를 서술하고 함의 부분에서 이러한 부분에 나의 논문이 기여한다는 점을 피력했다. 이처럼 연구 목적과 이유를 논문 전에 생각해두면, 논문 작성이 훨씬 수월해진다.

만약 논문 연구 목적 및 이유에 대해서 뚜렷한 이유가 없다면, 비슷한 선행연구들 페이퍼를 읽어보길 추천한다. 대략 5~10건 정도만 읽어봐도 공통적으로 지적된 연구의 한계점 Limitation들이 있을 것이다. 나의 연구가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한계점들을 타파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생각해 보면 연구 목적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C.3. 논문 연구 계획: 연구 조사 방법 

이전 논문 주제 선정 글에서도 주제 선정부터 연구조사방법을 고려의 중요성을 쓴 바 있다. 연구 조사 방법 계획단계에서는 이 부분을 좀 더 구체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나는 Focus group 인터뷰를 기반으로 한 연구조사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그렇다면, 해당 focus group 인터뷰 응답자들은 어떻게 구인할 것인가? 주변에서는 친척이 해당 업계에서 일하고 있어서 건너 건너 모집해서 인터뷰를 진행하는 친구를 본 적이 있다. 또한 각 인터뷰 시간은 어느 정도로 잡을 것이며, 응답자들에게 어떤 보상을 할지 등등 고려하는 연구조사 방법 적용을 위한 계획을 짜보아야 한다. 

나는 설문응답 기반으로 한 통계 조사 기법을 적용했는데, 논문 연구 계획 단계에서 모집 방법, 모집 목표 인원, 설문지 참고용 선행 연구 자료 조사와 응답 보상 정도를 미리 계획했었다. 

C.4. 논문 연구 계획: 연구 조사 일정

이 부분은 개인에 따라서 얼마나 시간이 있는지, 향후 계획을 떠렇게 하고 있는지에 따라 필요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나는 어떤 일이든 미리 계획하고 일정까지 맞추는 걸 좋아하기 때문에 대략적인 일정을 계획했었다. 초기 계획은 이와 같았다:

3월: 논문 작성 시작 - 4월: 문헌 조사  - 5월: 설문 조사 준비 - 6월: 설문 - 7월: 통계 분석 및 결론 - 8월 첫 주: 끝 

주 6일(토요일 포함) 해서 워킹스튜던트로 일하는 시간 빼고 나머지를 다 논문에 쓴다면 이렇게 시간이 걸리겠지 가늠했다. 그런데 4월에 몸이 아프면서 스케줄이 밀리기 시작했고, 그래서 일요일까지 주 7일 워킹스튜던트 일과 논문을 쓰면서 지내게 됐다. 5월에 설문지를 만드는데 시간이 예상보다 훨씬 걸리게 되면서, 6월이 되니 계획한 일정에 맞추기는 무리라는 판단이 들어 일정을 늦췄다. 그래서 실제로 작성한 일정은 이렇게 되었다. 

3월 중순: 논문 작성 시작 - 4월: 문헌 조사  - 5월: 설문 조사 준비 - 6월: 설문 - 7월: 통계 분석 및 결론 - 8월: 논문 초안 끝
(- 9월: 구직으로 인한 논문 작성 안함) - 10월: 형식 검토 및 재작성 & 최종 제출

8월에는 논문 초안, 말그대로 재검토를 하지 않은 채 주르륵 써 내린 초안이 완성이 됐다. 하지만 제출 전에 형식, 인용이 제대로 됐는지, 오탈자 없는지, 표절률 검사 등이 남아있었다. 이 부분은 10월 초 2주 정도 걸렸던 것 같다. 그리고 제출을 했으니 나는 워킹스튜던트를 하면서 논문 작성하는 데 5.5개월 정도를 소요했다. 논문 등록 기간 내 마치긴 했으나, 논문 작성에 주어지는 기간인 6개월을 거의 딱 맞춰서 걸린 것 같다.

(계속)